오늘 알아보는 통계방법은 대응표 본 t검정 pairedt-test
가장 기본적인 통계 방법으로 제가 실험하는 집단이 정규 분포를 따르고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파라미터 검정 방법 중 하나입니다.
대응 표본 t-test는 한 집단에서 중재 방법이 효과가 있는지 알아볼 때 사용합니다.
가장 간단하게 말하자면 제가 새로 개발한 음성치료기법 또는 언어치료기법이 한 집단에서
치료 전후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할 때 이 통계법을 사용합니다.
오늘 가상 논문의 주제는요.
A 음성 치료 기법이 B 음성 장애 환자의 음성 개선에 미치는 효과, 그럼 주제를 정했으니까 SPSS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 통계 전에 준비할 엑셀, 데이터 파일 준비, 먼저 A 음성 치료 기법이 특정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치료 전후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수치화합니다.
- 예를 들면
- 치료법 : A 음성 치료 기법 → 내가 조사하고 싶은 특정 치료법 대상 : B 음성 장애 환자 → 내가 실험하려는 환자군 평가 도구 : VHI(음성 장애 지수, 주관적 음성 설문지) → 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평가 도구
- 이와 같이 간략화하여 실험을 수행합니다.
- SPSS를 사용하기 전에 아래와 같이 VHI 수치를 환자별로 엑셀 파일로 입력하여 준비합니다.
2. SPSS에서 엑셀파일 읽기, 변수 설정하기
이전 통계 프로그램 준비문에서 설명했듯이 SPSS에서 엑셀 파일을 가져옵니다.
https://blog.naver.com/slp_voice/222211253989 논문의 주제를 정하고, 논문의 가설을 정하고, 내가 정한 논문의 주제와 가설의 타당성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blog.naver.com
위와 같이 읽은 후 다음 설정할 것은 변수 설정입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하단에 데이터 표시와 변수 표시가 있습니다.
데이터 표시는 제가 숫자를 입력한 화면으로,
변수 표시는 변수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우리가 사용한 VHI는 척도에 해당하는 설문지이기 때문에 화면 오른쪽에서 ‘척도’로 바꿔줍니다.
평가 도구에 따라 명목 변수에 해당하는 내용이라면 축도를 “명목” 바꿔주세요.
3. 통계 실행: 지원 표본 t 검정 다음 분석 → 평균 비교 → 지원 표본 T 검정을 클릭합니다.
PreVHI를 더블 클릭(또는 중앙 화살표 표시를 누름)하여 변수 1에
PostVHI를 더블 클릭(또는 중앙 화살표 표시를 누름)하여 변수 2로 설정합니다.
“확인” 누르시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