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우 짧은 천문학 수업: 잘 알려지지 않은 천문학사: 천상열차 분야 지도

매우 짧은 천문학 수업: 잘 알려지지 않은 천문학자

오늘날 우리가 쓰고 있는 만원권 지폐 뒷면에도 한국 전통 별자리가 나와 있다. 세종시대 천문관측기기 혼천의와 보현산 천문대 망원경 배경에 희미하게 보이는 수많은 동그라미가 바로 한반도의 옛 밤하늘을 담은 지도, ‘천상열차 분야 지도’다.조선 시대의 『천상 열차 분야 지도』는 석탁본, 목탁본, 필사본 등 종류도 다양하게 전해지고 있다.

j: 천상열차분야지도(필사본) 상단의 ‘천보분견도’라는 제자와 맨 아래단의 ‘천보도’와 ‘서방도’ 부분이 빠져 있다. 전운박사 소장 : 천상열차 분야 지도 고탁본, 숙종 때 다시 돌에 새긴 숙종석각본 탁본이다. 성신여대박물관 소장…중략…대체로 맨 위에 이름이 크게 적혀 있고 가운데에는 세세한 천문도가, 위아래에는 설명이 빼곡히 적혀 있다. 가장 오래된 것은 조선 개국 무렵인 태조 4년(1395년)에 제작한 석각본으로 그 크기가 가로 123cm, 세로 201cm나 된다.

천황분견석 국립고궁박물관 고구려 혹은 고려의 석각천문도를 복원한 것으로 원본이 전쟁 중 유실되자 남아 있던 탁본을 가지고 다시 돌에 새겼으나 그대로 베끼지 않고 중심부를 조선 초기 밤하늘에 맞추어 수정하였다는 기록이 있다.중략…중국, 일본에도 유사한 천문도가 전해지고 있는데, 그 후예들이 동의할지는 알 수 없으나 우리 것이 가장 정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별의 밝기에 따라 크기를 다르게 표시하고 별의 위치도 시대에 맞게 개정하는 등 우리 조상들은 천문도에 상당히 집중한 것으로 보인다. 탁본은 흑백이지만 필사본은 은하수를 하늘색으로, 별은 밝기에 따라 여러 색으로 칠해 아름답게 꾸민 것도 몇 가지 전해 온다.

출처 천문학자는 별을 안보는 심채경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