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사망 기여도 1위인 고혈압의 대표적 합병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혈압으로 인한 사망자 전 세계 연간 1000만명, 국내 성인 유병률 27.7%, 증상 없이 방치되고 있어 심혈관, 뇌혈관질환 위험을 높이고 있어 필수관리가 필요하다.

고혈압이 있으면 혈관벽이 받는 압력이 커져 혈관에 상처가 생긴다.이때 염증세포가 발생해 상처에 혈전(피떡)이 생기고 혈관을 막아 협심증. 심근경색과 같은 관상동맥질환이 발생한다.

뇌 무게는 전체 체중의 2.5%에 불과하지만 뇌로의 혈액 양은 전체의 20%에 이른다.뇌는 우리 몸에서 가장 혈류가 많은 장기이고 심장에서 대동맥을 통해 혈액이 막힐 때 가장 먼저 도달하는 장기이기 때문에 특히 혈압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고혈압이 지속되면 혈관이 단단해지고 혈관 내부가 막히거나 파열돼 뇌졸중이 발생한다.
신장은 미세혈관 덩어리다.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미세혈관이 손상돼 신장에도 영향을 줘 혈액 속 노폐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된다. 초기에는 단백뇨 등의 증상을 보였으나 점차 악화돼 신경화증, 만성콩팥질환, 요독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고혈압은 망막을 손상시킬 수 있다. 망막에 있는 작은 혈관이 손상되면 혈관 벽이 두꺼워져 혈관을 통해 흐르는 혈액의 양이 줄어든다. 혈액량이 감소하면 망막 손상으로 이어져 시력 저하, 실명으로 이어진다.무증상 장기 손상이나 당뇨병 환자는 목표 혈압 130/80까지 낮춰야 한다.고혈압 고콜레스테롤 고혈당 3가지를 낮추려면 HDL을 높여야 한다.HDL은 우리 몸의 청소부 역할을 한다.마지막으로 뇌혈관 심혈관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저염식, 운동습관, 혈압관리, 콜레스테롤 관리를 습관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