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Dr.kim입니다.
특별한 원인 없이 어깨가 결리거나 통증을 느끼는 경우를 오십견이라고 합니다. 이게 정식 명칭은 아니지만 50대가 가장 많이 앓고 있는 질환이기 때문에 오십견이라고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정식 명칭은 동결견 또는 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 합니다. 유착성 관절낭염은 관절막에 염증과 관절낭의 섬유성 비후, 간단히 설명하자면 흰색 관절에 붉은 염증이 생겨서 붙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자연스러운 치유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 후 치료에 임해야 합니다. 최근 어깨가 아파서 병원을 찾는 환자가 늘고 있습니다. 첫 번째 이유는 고령화로 인해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노인 질환 자체가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둘째,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과거에는 어깨 통증 정도는 참고 지냈지만 지금은 적극적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오십견은 엄밀히 말하면 병의 이름이 아닙니다. 과거에 어깨 질환에 대한 지식과 연구가 부족했을 때 50대 이후에 어깨 통증이 나타나고 팔을 잘 들지 못하는 증상을 보고 오십견이라고 했지만 정확한 병명은 아닙니다. 유착성 관절낭염이라는 병이 오십견을 가리킬 때 가장 가까운 표현으로 모든 어깨 질환을 대표하는 것은 아닙니다.
유착성 관절낭염은 자주 발생하면 회전근건판 질환과는 구별됩니다. 회전근건판 질환이 퇴행성 변화나 외상 등에 의한 근육 손상이라면 오십견 즉 유착성 관절낭염은 어깨 관절을 감싸는 막과 주변 조직의 염증으로 인해 유착이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증상으로는 밤에 아파서 관절 운동 장애가 됩니다.
회전근건판 질환으로 팔을 들지 못하는 것은 근육 이상으로 인한 능동적 운동장애인데, 유착성 관절낭염은 말 그대로 유착되고, 즉 달라붙어 능동적, 수동적 운동을 모두 할 수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오십견 치료는 크게 보존적 요법과 수술적 요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보존적 요법은 수술을 하지 않고 약이나 물리 치료를 하는 것입니다.
통증은 소염제 등으로 완화할 수 있으며 온열요법, 전기치료, 초음파치료 등 물리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어깨 관절 주변에 주사를 놓는 경우도 있습니다. 충돌 증후군, 오십견 등 대부분은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가 잘 되는 편입니다. 관절 운동 장애는 운동 요법을 시행하게 됩니다. 운동 치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줄어든 관절 운동을 회복시키는 스트레칭 운동입니다. 이때 아픈 것을 참고 무리하게 할 것이 아니라 아프지 않은 범위에서 꾸준히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서서히 진행해야 합니다. 특히 한국에서 잘 알려진 상식에서 오십견은 아픈 것을 참고 접어서 풀어야 한다는 생각은 크게 틀렸습니다.
두 번째 운동은 어깨 관절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것으로 관절 운동 범위가 회복되면 주변 근육을 튼튼하게 하여 통증을 줄이고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오십견 수술 방법의 대부분은 회전근개 파열에 대한 복원술입니다. 통증이 있고 초음파 MRI 검사 등으로 회전근건이 찢어진 경우 최근 적극적으로 수술을 하는 추세죠.
오십견 수술 방법은 관절경이라는 내시경이 발달하여 거의 피부 절개 없이 관절경을 넣어 직접 눈으로 보면서 끊어진 회전근을 봉합하는 수술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십견 이외에 다른 질병이 있는 경우에는 단순히 약물요법 또는 물리치료를 받아 증상이 악화되거나 호전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치료가 잘 되지 않는 오십견은 다른 원인에 대해 검사를 해봐야 합니다.
특히 외상이나 연부조직의 염증, 유착성 활액낭염 등에 대한 자세한 검사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오십견이라고 무조건 참고 운동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통증이 심하면 오히려 안정을 취하고 관절 운동은 삼가야 합니다. 통증이 생길 정도로 과도한 운동은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럼 오십견 수술 방법으로 수술을 진행해야 하고, 그 후 완치를 기다려야 합니다.
오십견은 실제 완치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며 보존적 치료를 장기간 했음에도 불구하고 호전이 어려운 경우 보다 다양한 방법의 치료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도 완치를 보장하는 치료방법이 아니므로 치료 여부와 횟수는 환자의 증상을 고려하여 정밀한 검사를 거쳐 전문의와 상의한 후 결정해야 합니다.
선수촌병원 www.sunsoochon.com
선수촌병원 www.sunsoochon.com
선수촌병원 www.sunsoochon.com
선수촌병원 www.sunsoochon.com
선수촌병원 www.sunsooch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