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퇴직 후에도 일을 계속 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그 중에서도 남성들에게 인기있는 부분은 아무래도 경비원입니다. 제 주변에도 이른 퇴직을 하고 나서 경비원으로 재취업하신 분들이 많거든요. 근데 대부분은 오래 못 했어요.
보통 퇴직하시는 분들 대부분이 높은 직급으로 일하셨잖아요. 업무에 익숙하지 않기도 하고 체력적으로 일하기가 부담스럽대요. 그래서 사무실 업무를 더 선호하는 추세입니다. 집합건물관리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아파트나 빌딩 관리사무소에서 일할 수 있다고 합니다. 같이 공부해서 퇴직 후에 새로운 제2의 직장에 도전해 보세요.
![](https://file.mk.co.kr/mkde/N0/2014/10/201410310240411419581.jpg)
주택이 많았던 시기에는 관리사무소라는 걸 보기가 힘들었어요. 20년 전부터 급격히 아파트가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입주자대표회의와 그 역할이 커지기 시작했습니다. 각자가 처리하기 어려운 부분을 사무실에서 맡아서 처리해줘서 입주민들의 불편을 해소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 사무실에서 일하시는 분들은 최소 2명에서 아파트 규모가 클수록 직원이 많습니다. 요즘은 대규모 단지로 건설하는 것이 추세이기 때문에 사무실에 일할 인력도 많이 필요할 것입니다. 이렇게 고용시장이 커지는 분야에서 조금이라도 쉽게 취업하기 위해서는 집합건물관리사 자격증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https://post-phinf.pstatic.net/MjAyMDExMTZfMTIw/MDAxNjA1NTAzMDQ3Njg0.0JT24w84SG2GRJkl1WHBXAEIIrbN2LBIimttMQYD2kog.CjCQUHJW_aOkZWTa5sCg5dPzZuV_qIFbBULeZSnPye8g.JPEG/1%EB%B2%88%EC%9D%B4%EB%AF%B8%EC%A7%80.jpg?type=w1200)
집합건물관리사 자격은 민간에서 발급되는 라이선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교육기관에서 수업을 듣느냐가 중요합니다. 얼마나 오랫동안 수업을 해왔는지, 신뢰할 수 있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그래야 실제로 이력서에 썼을 때 가산점을 받거든요.
처음에는 학원에 가서 수업을 들을까 고민해봤는데 제가 자격증을 공부하던 시기가 한여름이라 뙤약볕에 나올 것 같지 않았어요. 그래서 방향을 바꿔 온라인 강의를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http://ojsfile.ohmynews.com/STD_IMG_FILE/2022/0203/IE002933483_STD.jpg)
포털에서도 검색해보고 주변 지인들에게 물어봐서 한국자격검정평가진흥원이라는 곳을 알게 되었습니다. 온라인 강의를 들을 수 있는 교육기관으로 수강생 수가 어마어마해요. 인원이 많으면 합격률이 자연스럽게 낮을 수 있는데 여기는 90%가 넘거든요.
등록해서 둘러보면 무상으로 온라인 강의를 듣고 시험을 보면 자격증도 같이 취득할 수 있다고 합니다. 무상이라는 말에 의문이 있어서 샘플 강의를 듣고 시작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강사님 수업이 너무 예뻐서 저랑 잘 맞을 것 같아서 집합건물관리사 자격증을 여기서 공부하기로 했어요.
![](http://www.100ssd.co.kr/news/thumbnail/202012/73713_53918_3024_v150.jpg)
집합건물관리사 자격증은 엄격하게 요구되는 응시 자격이 없습니다. 고등학교만 무사히 졸업했다면 누구나 가능합니다. 그래서인지 교육기관에서 핫한 자격증으로 올라오는 거죠.
사이트에서 설명해 주는 취업 영역은 더 넓었어요. 건설회사, 그리고 컨설팅회사까지 다양하게 취업할 수 있습니다. 저는 사무실에서 일하는 쪽에 끌렸는데요.
![](https://post-phinf.pstatic.net/MjAyMDExMTZfMjEx/MDAxNjA1NTAzMDc2NjA3.d39Cl64xQtdyhnB5bpxPGr0OeYfv0v-eQR3beGqkYuYg.J5vMNTiFWP4mtEh5HmVr-UW5Hn0r3PXdMQrtrt1AAvYg.JPEG/3%EB%B2%88%EC%9D%B4%EB%AF%B8%EC%A7%80.jpg?type=w1200)
강의는 주로 이론으로 제도부터 관련법까지 총 25강이 있습니다. 법은 암기해야 할 부분이 많아서 처음 15강은 하루에 2강씩 나오고 법령은 하루에 1강씩만 보기로 결정했습니다.
학습기간이 20일 정도 나오거든요. 그리고 시험을 보기 전날 정리한 노트와 교수님의 자료를 보기로 하고 총 3주간 학습을 했습니다.
![](https://post-phinf.pstatic.net/MjAyMDExMTZfMjgg/MDAxNjA1NTAzMDk0MDA4.5Dw5OonrIM27BduhSDXCTCD8v2Jpf2fgb1RoGaU47EMg.1KRdpbNZd-z7ORAXs7mw_ouRJy61-gw_6Fs6ZQZqZAwg.JPEG/4%EB%B2%88%EC%9D%B4%EB%AF%B8%EC%A7%80.jpg?type=w1200)
라이선스에 나오는 과목은 건물관리 개요와 실무 그리고 건물관리 법규로 총 3과목입니다. 먼저 건물에 대한 이해가 필요했어요. 이 부분은 땅이나 건물을 잘 아는 분이라면 어렵지 않게 따라갈 수 있습니다. 나는 공부한 적이 없어서 조금 낯설었지만 실무 부분은 실생활과도 관련이 있어서 상대적으로 쉬웠어요.
공동주택관리법과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그리고 건축물관리법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서 처음에는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용어 정리는 필수였고 시행령 등도 꼼꼼히 챙겨야 했거든요.
그리고 각자 담고 있는 종류의 양이 많았어요. 용도별 건축물은 총 29가지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 부분도 암기를 해야 합니다. 업무 과정은 10단계로 관리주체 결정과 아파트 입주대표회의부터 장기수선충당금까지 있습니다.
잘 모르는 용어로 많이 외우려고 했더니 조금 힘들었어요. 그래서 가끔 교육기관 담임선생님께 저의 고충을 털어놓기도 했습니다. 내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격려해주고 또 힘을 얻어 공부했어요.
저는 아파트에 살고 있지만 입주자 대표회가 무엇을 하는지 잘 몰랐어요. 그냥 아파트 사는 사람들 중에 대표를 정하는구나. 이 수업을 통해 입주자대표회의가 의결기구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마 이 공부를 하지 않았다면 아직도 저는 입주자대표회는 단순히 대표구나라고 생각했을 거예요. 의결기구이기 때문에 아파트 동대표를 뽑을 때 이력이나 약력 등을 게시해서 아파트 주민에게 정보를 제공한 것이었습니다.
강의가 진행되는데 후반부에서는 진도가 쉽지 않았어요. 건물법,민법까지학습해야했어요. 그래도 다행히 교수님께서 요약본과 노트 자료를 제공해 주셨어요.
인터넷 강의를 들으면서 필기를 같이 하다 보면 놓치는 부분이 생기기 쉬운데 미리 노트 자료도 주셔서 좋았습니다. 자료 부분에 나오는 기한이나 숫자는 화이트로 칠하고 복습할 때 제가 채워 넣는 방법으로도 학습을 했습니다. 그렇게 빈칸을 채우다 보면 기억이 더 길어지고 지루하지 않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제가 생각했던 기간보다 조금 긴 25일 정도로 강의를 마쳤습니다. 하루도 밀리지 않고 들었는데 복습이 필요한 부분이 있었거든요. 그 부분은 조금 빨리 돌려서 듣도록 했어요.나머지 부분은 크게 복습할 필요는 없었던 것 같아요. 교수님께서 시험 전에 기출문제 푸는 방법과 예상문제와 문제 경향도 지적해 주시니까 그 부분만 잘 보셔도 될 것 같아요.
26일째에 온라인 시험을 봤어요. 60점 넘으면 패스하는데 저는 70점 정도 점수가 나왔어요. 그렇게 높은 점수는 아니었지만 그래도 자격증 취득에 성공했거든요.
보통은 퇴직하고 나서 다음 직장을 구하려고 초조해요. 하지만 조금 더 생각해보면 그럴 일도 없을 것 같아요. 그동안 열심히 일한 저에게 재충전 시간을 주면서 다른 공부도 하고 자격증을 따면 그만큼 제 스펙도 올라가니까요.
저는 한 달이라는 시간을 들여 공부하여 컨설팅 회사에 입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만약 이 공부가 아니었다면 못했을지도 모릅니다. 쉰 적이 없어서 쉴 수 없어서 바로 재취업을 생각하고 있는 것 같아요. 시간을 들여도 관련 부분에 대해 공부하면 분명 생각보다 더 좋은 곳에서 일할 수 있을 거예요. 나는 그런 면에서 집합건물관리사 자격이 잘 맞았다고 생각해요.
여러분도 저처럼 제2의 직장을 구한다면 제가 다른 자격증을 준비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아요. 여러분들께 추천해드리고 저는 이만 가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교육서비스 브랜드 대상 수상, 100만 회원이 선택한 교육원 orl.kr
본 포스팅은 업체로부터 소정의 원고료와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