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921-1809297박9일 우즈베키스탄 여행 기티무르 제국의 유산 우루그벡 천문대
사마르칸드 방문지 [우르크벡천문대/아프라시업박물관/하즐랏히즐/시업바자르/비비하눔 모스크/레기스/그루에미르]
울그벡 천문대
아프라시업 박물관에서 울그벡 천문대로 걸어가면 강이 보인다.아프라시앱 이름이 유래된 ‘시앱강’이다.강을 뼈대로 하여 흙벽과 푸른빛을 띤 마을이 뻗어 있었다.Toshkentyo’li, Samarqand, 우즈베키스탄 아프라시업 박물관에서 30분 정도 걸어서 도착한 우루그벡 천문대(Ulugh Beg Observatory).입장료는 박물관과 마찬가지로 22,000식이었다.구르에미르의 입장료도 22,000식, 레기스의 입장료는 21,000식으로 비슷한 수준이다.울그벡(Ulugh Beg/Ulugbek)과 세종
입구에 우루구벡 동상이 햇빛을 받으며 방문객들을 바라보고 있었다.미르자 우르그벡(Mirzo Ulugh Beg/Ulugbek)은 티무르 제국(1370~1507)의 창시자인 티무르(Timur)의 손자이자 제국의 4대 군주이다.그러나 제왕으로서의 능력보다는 학자로서의 재능이 뛰어나 과학기술과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했다고 한다.
일부 한국인들은 우루구백을 조선 세종에 비유하기도 한다.뜻밖에도 두 인물 사이에는 공통점이 있다.
- 한 왕조의 4대 군주 조선은 1대 태조 이성계가 국가를 열면서 정치적 혼란을 3대 태종이 마친 뒤 안정된 시기에 4대 세종이 등장했다.티무르 왕조도 제1대 티무르가 시작되면서 그의 사후 나타난 혼란을 제3대 샤를루가 끝내 안정시켰고, 이후 우루그벡이 제4대 군주로 즉위하였다.초대 군주는 국가의 초석을 쌓았다면 2~3대에 걸쳐 기강을 바로 세우고 4대째 문화를 꽃피운 군주가 나타났을까 싶다.
- 2. 15세기 활동 우루그벡의 생몰 연도는 1394년~1449년, 세종대왕은 1397년~1450년으로 14세기 말에 태어나 15세기 중반까지 비슷한 시기에 살았다.우루그벡이 티무르 제국 전체의 지배자로 존재한 기간은 불과 2년여였지만 16세부터 사마르칸드의 총독으로 활동했으니 그의 활동 기간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 3) 문화발전 세종의 업적이다.써도 손이 아프니까 굳이 언급하지 않겠다.우루구벡은 천문대를 세워 세종처럼 매일 천문을 관측하도록 하고 관측한 것을 바탕으로 별자리를 재정비했다.또한 현재 사마르칸드의 랜드마크인 레기스에 최초의 마드라사(학문기관)인 ‘우르크벡 마드라사’를 세워 이슬람 세계의 학자들을 초빙하여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그는 티무르의 르네상스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4. 왕자 출신 학자 세종은 특히 언어 분야에 뛰어난 업적을 남긴 언어학자라면 우루그벡은 천문학자로 이름을 남겼다.게다가 우루그벡은 마드라사에서 강의를 했다.
- 이상하게도 우루구백과 세종대왕은 전혀 다른 곳에 살았는데 공통점이 있었다.이런 점을 알고 보니 더욱 흥미로웠다.울그벡 천문대
(왼쪽) 울그벡 전시관/울그벡 천문대 1420년대에 세워졌다는 울그벡 천문대는 원형의 절반만 남아 있었다.천문대와 마주보고 세워진 전시관까지 봐도 30분 정도밖에 걸리지 않는 작은 곳이었지만 세종대왕과 비교해보면 흥미로웠다.
윗부분은 사라지고 아랫부분만 남은 천문대.원래는 밑에서 관측하는 것이라지만 우리는 위에서 내려다볼 수밖에 없었다.중앙에 계단처럼 층이 있었고, 그 계단을 따라 선로처럼 솟은 길에는 눈금이 달려 있었다.
마침 한국어를 할 줄 아는 우즈베키스탄인 한 명과 한국인 한 명이 들어와서 천문대에 관한 이야기를 한국어로 나누는데 잠깐 들어봤다.우즈베키스탄인들이 설명해 준 우루그벡 천문대의 원리는 우물에서 하늘을 보는 것과 같았다.우물 안에서는 주변이 어두워 낮에도 별을 볼 수 있다고 하는데, 이 천문대도 내부를 어둡게 하고 창문을 두고 밤낮으로 창문을 통해 천문을 관측할 수 있는 원리를 사용했다는 것이다.밤에도 가로등이 켜져 밝은 곳에서는 별이 보이지 않지만 손으로 망원경을 만들어 빛을 차단해 보면 좀 더 잘 보이는 것도 같은 원리일 것이다.우루그벡 전시관
천문대에 접해 있는 건물은 마치 마드라사(Madrasa/메들리제 메들리제) 같다.우루그벡에 관한 물품을 전시하고 있는 곳이었다.
우즈베키스탄 초대 대통령 이슬람 카리모프가 우루그벡에 대해 쓴 찬사가 입구에 적혀 있었다.우루그벡 초상 중에는 지구본 같은 것도 함께 있다.군주였지만 과학과 예술 탐구에 몰두한 학자인 그를 잘 표현해 주었다.실제로 그는 통치자의 자질이 별로 없었는지 티무르 제국 전체의 지배자가 된 지 2년 만에 아들에게 살해당하고 말았다.
티무르 왕조 자체가 몽골 제국에 기반을 두고 있는 만큼 몽골풍의 초상화도 남아 있었다.티무르 제국을 세운 티무르는 몽골제국 차가타이 칸국을 이룬 부족 출신으로 칭기즈칸 자손(비비하눔 모스크의 전설을 남긴 비비하눔 왕비)과 결혼해 정통성을 확보하려 했다.티무르는 칭기즈칸의 직계가 아니었기 때문에 스스로를 왕이나 칸이라고 칭하지 않았다.대신 장군을 뜻하는 아미르(Amir)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내부에는 우루그벡 시대의 궁궐과 코란 등이 전시되어 있었다.
또한 우루그벡 천문대의 원형을 상상하여 만든 모형도 상당히 정교하게 만들어져 있었다.
콜로세움처럼 둥근 건물 위에는 아마 있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천문관측기구가 놓여 있다.모양이 어디서 많이 본 것 같아.
건물 중간쯤 붉은 원으로 표시된 지점이 현재의 입구라고 한다.그 상부는 소실되지 않았다.
계단처럼 된 부분이 각도를 나타내고 빛이 들어온 위치를 통해 태양의 고도 등을 파악하는 원리와 같다.창문으로 들어온 빛으로 눈금을 읽는 학자는 아마 울그벡 본인일 것이다.당대의 유명한 천문학자로 알려져 있으니까.
우루그벡이 얼마나 유명한 천문학자였는지는 이 그림에서도 알 수 있다.이 그림은 우루그 백작보다 약 200년 뒤인 폴란드 천문학자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의 책에 삽화로 들어 있는 장면이다.
하늘을 표현한 우라니아(URANIA)를 중앙에 두고 세계의 저명한 천문학자들이 모여 있는데, 우라니아의 오른쪽에는 고대 최고의 천문학자로 꼽히는 프톨레마이오스가, 왼쪽에는 우르크벡이 표현되어 있다.
당대 사용했던 지구의나 시계에 보이는 기구 등 천문지리와 관련된 물건도 있었다.서울의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본 기구와 매우 비슷해 신기했다.사마르칸드의 지리적 위치
카라반이 여러 곳에서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가져와 이곳에서 공유했기 때문에 몰랐던 부분을 다른 지역의 지식으로 채워 배우면서 더 많은 새로운 지식이 탄생할 수 있었다.전시실에서도 영어권 가이드에게 귀띔했다.사마르칸드 지역에서 과학기술이 발달할 수 있었던 이유를 그는 캐러밴들로 찾았다.그 밖에 다른 여러 이유가 있더라도 확실히 교류와 공유는 발전의 필요조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