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엔티제입니다.
오늘은 자율주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율주행 기술은 미국자동차공학회(SAE)에 따라 5단계로 구분되는데. 0단계라는 것도 있지만 자율주행이 적용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1단계부터 5단계까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사진자료 출처 사이트 : http://spri.kr/posts/view/21830?code=industry_trend
[참고하면서 글을 읽으면 더 좋아요]
1단계는 운전자 지원 형태입니다. 선택적 능동 제어 단계에 해당하며 스티어링 지원 시스템, 가속/감속 지원 시스템이 적용됩니다.
운전자가 운전대를 잡은 상태에서 차량이 차선을 떠나지 않도록 하거나 도로 주행 시 앞차와의 간격을 유지해주는 등의 기능을 합니다. 운전은 사람이 하지만 이러한 보조적인 부분을 지원해 주는 단계입니다.

출처 : https://pixabay.com/p hotos/speedometer-dashboard-car-speed-1249610/2단계는 부분 자동화입니다. 통합적 능동제어 단계에서 1단계부터 기능이 향상된 부분이지만 운전자의 개입 없이도 조향보조나 가속/감속지원 시스템이 적용됩니다. 쉽게 말해 차량이 스스로 속도조절도 하고 차선도 맞춰간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전방을 주시해야 하며 주행의 책임은 사람이 져야 합니다.
최근 출시되는 차를 보면 자율주행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차선을 넘으면 소리가 난다든지 도로 주행 중에 앞차와 부딪힐 정도로 가까워지면 자동 브레이크가 되는 시스템이 존재하는데 이게 2단계에 해당하는 거죠.
실제로 저는 친구가 차를 빌려 운전하는 차를 탔는데 앞차와 부딪힐 뻔하자 차가 마음대로 급브레이크를 밟아 놀란 경험이 있습니다.
그리고 자율주행으로 유명한 테슬라는 호출 기능으로 운전자가 없어도 스마트폰으로 호출하면 그 위치로 차를 이동하는 시스템도 있고, 자동으로 주차하는 시스템도 탑재되어 있지요.하지만 전방을 봐야 하고 아직 완벽하지는 않지만 기능적인 면에서는 3단계에 가깝기 때문에 2.5단계라고도 합니다.
© nicolaiberntsen, 출처 Uns plash
3단계는 조건부 자동화입니다.1단계, 2단계와 달리 3단계는 시스템이 직접 운전하는 방식인데 다양한 운전 조작을 자동차 시스템이 한다는 겁니다.2단계에서는 운전자가 직접 전방을 주시하고 운전 개입이 어느 정도 필요하지만 3단계에서는 더 나아가 추월하거나 장애물을 피할 수 있어 전방을 주시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기술력이 되는 단계입니다.
© Johnschno, 출처 Unsplash4 단계는 고도 자동화입니다.4단계는 모든 상황에서도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 없는 단계입니다.차를 타고 자거나 독서를 할 수 있습니다. 4단계가 적용된 차량은 목적지까지 자동으로 운전해 주는데 위와 같이 가속/감속 기능, 사고방지 브레이크 작동, 차선변경, 추월 등 모든 기능을 운전자 없이 할 수 있는 대단한 기술의 단계입니다. 그리고 자율주행 중 문제점이 생기더라도 운전자 개입 없이 시스템이 알아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아직 공식적으로 4단계 자율주행차는 없다고 합니다.

© rpnickson, 출처 Unsplash 마지막으로 5단계는 완전 자동화입니다.이전까지는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하거나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5단계의 경우는 말 그대로 완전 자동화이기 때문에 운전자가 필요 없는 완벽한 자율주행입니다. 만약 운전석에 사람이 없어서 자율주행으로 다니는 택시도 나타난다면, 이것은 5단계에 해당하는 자율주행차죠?이렇게 5단계가 되면 브레이크나 엑셀, 기어 등이 필요 없게 될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