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상 차림의 예절과 의의

제사는 지방마다 그 지방의 풍습과 관례가 조금씩 다른 집마다 가풍이 있는 예법이 따로 있어서 서로가 조금씩 다르므로 옛날부터 가례문(가례문)이라고 말했다.또 남의 제사 가로되”남의 축제 와리왈시”라며 남의 제사에 도리를 묻거나 시비를 쓸 것을 터부 시해 왔다.오늘은 종교와 개인의 주관적 성질에 의해서 제사를 하지 않거나 형식을 전혀 신경 쓰지 않는 방향으로 빠르게 전개되고 있지만, 그러나 조상이 없으면 우리가 없다는 마음으로 아직 제사를 지내는 분들이 훨씬 많은 것 같다.1. 제사 상에 올려서는 안 된다 음식과 그 이유는? A, 복숭아 모모는 옛날부터 귀신을 쫓는 과일로 알려진 그것에서 전에 무당이 굿을 할 때나 귀신이 들른 사람 때문에 속삭일 때에는 복숭아 나무 가지를 쓰기도 했다.봄이 왔을 때 식물 중에서 복숭아 나무가 가장 먼저 양기를 최대치에 담고 나뭇가지를 뻗히고, 방위의 4방향 중 동쪽으로 뻗은 복숭아 가지만 썼다고 한다.동쪽으로 뻗은 가지를 쓰는 이유는 태양은 동쪽에서 있어 가장 먼저 태양이 품고 있는 날씨를 흡수하고 보관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그래서 음의 기운인 귀신의 접근을 막는 상극의 관계이기 때문에 복숭아가 제사 상에 올릴 수 있다고 조상의 혼이 올 수 없으니 복숭아를 써서는 안 된다며 털이 붙은 것은 부정이라고 말하고 복숭아를 쓰지 않았다고도 한다.또 복숭아는 열매 속에 이유는 모르지만 천박한 과일과 생각, 최고의 음식으로만 준비해야 할 제사 상에 올리지 못했다고 한다.

B. 치자로 끝나는 생선 가운데 치자로 끝나는 고기와 오자로 끝나는 고기가 있는데 오자로 끝나는 고기는 고급종이었고 치자로 끝나는 고기(멸치 꽁치 갈치 등)는 하급 어종으로 분류돼 치자로 끝나는 생선은 제사상에 올리지 않았다고 하며 이는 조상숭배의 예의이기도 했다.또한 비늘이 없는 물고기는 부정한 물고기로 구분하여 부정한 음식을 조상에게 바칠 수 없다는 이유로 사용하지 않았다.

C. 고춧가루와 마늘 등 자극적인 음식 마늘이나 고춧가루(빨간색), 팥 역시 귀신을 쫓는 음식으로 알려져 있는데 마늘의 강렬한 향과 고춧가루와 팥의 붉은 색이 원인인 것 같다. 동짓날 팥죽을 지어 잡귀를 예방하거나 귀신 쫓는 부적도 붉은색으로 하는 이유가 붉은색은 강렬함의 대표적인 색으로 양기의 표본이 되어 귀신 쫓는 색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고춧가루에 대한 또 다른 설은 임진왜란 이후 우리나라에 들어왔기 때문에 예로부터 전래된 음식이 아니기 때문에 쓰지 않는 말이 있다. 또 제사 음식에는 대파 쪽파 부추 달래 미나리 마늘종 후추 등 강하고 자극적인 것도 마늘과 같은 이유로 사용하지 않았다.

D. 음식에 머리카락, 머리카락도 귀신을 쫓는 이유 때문이지만, 머리카락을 태우면 냄새가 유령을 내쫓는 역할을 한다는 속설이 있기 때문이다. 2. 꼭 이래야 하는가. 이런 모든 것은 유교와 지역적 특성, 생활 환경을 고려한 것으로 보이며 굳이 여러가지를 생각하고 제사를 실시하면 후세인들의 스트레스를 초래할 뿐 아니라 조상의 모심이 오히려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지금 현실과 상황에 의해서 물 한잔 부어 놓고 혹은 그대로 먹는 대로 음식과 모습으로 고인을 그리는 경건한 마음을 음식으로 제사를 하는 것이 조상에 대한 최상의 예의가 아닌가 싶다.위에서 언급한 제사 상에 올려서는 안 되는 음식 역시 그 시대의 영향이나 속설에 의한 나머지 유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모든 제사는 가례문이자, 남의 제사 가로되, 옛날부터 이를 걱정하고 온 것을 보면 우리 조상 역시 사담 후세인의 걱정과 걱정, 허세라고 과시에 조심하라는 교훈을 주고 있는 것 같다.이들 모든 것은 우리의 근본을 생각하는 것으로, 현재의 우리를 다시 한번 돌아봄으로써 우리 형제와 이웃을 나처럼 생각한다는 조상의 가르침이 아닌가 싶다.

D. 음식에 머리카락, 머리카락도 유령을 쫓는 이유가 있기 때문인데, 머리카락을 태우면 냄새가 유령을 쫓아내는 역할을 한다는 속설이 있기 때문이다. 2) 꼭 이래야하나 이러한 모든 것은 유교와 지역적 특성, 생활환경을 고려한 것으로 보이며 굳이 여러 가지를 생각하고 제사를 지내면 후세인들의 스트레스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선조들의 모심이 오히려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지금의 현실과 상황에 따라 물 한 잔 부어 놓고, 혹은 그냥 먹은 대로의 음식과 모습으로 고인을 그리는 경건한 마음을 음식으로 삼아 제사를 지내는 것이 조상에 대한 최상의 예의가 아닐까 생각한다.위에서 언급한 제사상에 올리지 말아야 할 음식 역시 그 시대의 영향이나 속설에 따른 잔유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모든 제사는 가례문이며 타인지제 가로되 예로부터 이를 걱정해 온 것을 보면 우리 조상들도 후세인의 걱정과 걱정, 허세와 과시를 조심하라는 교훈을 주는 듯하다.이 모든 것은 우리의 근본을 생각함으로써 현재의 우리를 다시 한 번 돌아봄으로써 우리 형제와 이웃을 나처럼 생각하라는 조상의 가르침이 아닐까 싶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