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본다_ 심채경 천문학자는 별을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 심채경

휴가 중 F1963에 가서 예스24 중고서점에 들러 책을 몇 권 사왔다. 블로그 이웃의 글을 통해 접한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책을 구입해 읽었는데 오랜만에 낄거리며 책을 읽어간 것 같다. 사실 제목에 ‘천문학자’가 들어가 있어 재미가 없을 것 같았다. 뼛속부터 완벽하게 문과형인 나는 수학뿐 아니라 과학(물리뿐 아니라 지구과학 생물 화학까지) 역시 너무 좋아하지 않아 이 책을 읽을까 고민했다.

그런데 리뷰를 읽어보니 딱딱한 그런 류의 책이 아니었고 게다가 재미있기까지 하다니 한번 읽어보려고 구입했는데 역시 리뷰가 후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했다. 천문학에 관한 설명이 곳곳에 있지만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는 천문학에 대한 지식을 알리고자 쓴 책이 아니라 비정규직 ‘행성과학자’로서의 애환과 우주에 대한 사랑 이야기였다.

교양 과목을 강의하면서 학생들에게 대학이 무엇인지, 학문 작문은 어떻게 이뤄지는지를 먼저 가르쳤다는 저자의 글에서는 인생 선후배들을 아끼는 마음이 여실히 드러나기도 했다. 사실 저자 심채경의 사진과 과학자라는 제목만 보고 아직 결혼하지 않은 것 같다, 아니면 결혼해도 아이는 없잖아요? 라는 고정관념을 가졌다. 남성이 주류인 과학계에서 여성이 어쩔 수 없이 버틸 수 있으려면 결혼을 하지 않거나 자녀가 없어야 할 것 같았다. 하지만 그건 내 착각이었다. 저자는 아이가 둘이나 있었다.

심채경 씨 같은 과학자가 정말 많았으면 좋겠다. 남성이 주류 영역에 여성이 정착할 수 있는 세상, 결혼을 해서 아이를 낳고 키워도 그만두지 않고 본인의 일을 계속할 수 있는 세상, 그런 세상이 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심채경 언니 응원할게!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책 속의 문구* 그런 사람들이 좋았다. 외출에서 보면 저게 도대체 뭘까 하는 생각에 즐겁게 몰두하는 사람들, 남에게 해를 끼치거나 정치적 다툼을 만들어내지 않는 위대한 명예나 부가 따라오는 것도 아니고 TV나 휴대전화처럼 보편적 삶의 방식을 바꾸는 영향력을 가진 것도 아닌 그런 것에 열정을

//// 바치는 사람들. 신호가 도달하는 데만 수백 년이 걸리는 곳에 끝없이 전파를 흘려 전 우주에 과연 ‘우리뿐일까’를 깊이 생각하는 무해한 사람들. 나는 그런 사람들을 동경해. 그리고 그들이 동경하는 하늘을, 자연을, 우주를 함께 동경한다.

  • 그만두기엔 아까울 때가 가장 아까울 때인지 늘 궁금하고 남은 경제력과 남은 정신력을 저울질해 보는 시기.
  • * 이런 강의가 있다는 걸 접한 순간부터 강의를 듣기로 결정해서 100% 출석은 아니지만 수업을 듣고 과제도 하는 동안 천문학뿐만 아니라 과학 전반에 대한 호기심이 생겼고 혹시 있었을지도 모르는 막연한 거부감 같은 것도 좀 줄어들었다면 나중에 결혼해서 아이들을 데리고 과학관이나 천문대, 천체투영관을 구경하러 가볼까 생각하게 된다면 그게 제가 비전공자에게 천문학 강의를 하는 가장 큰 목표이자 보람입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