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지구과학 독서로 정복! 용선생의 떠들썩한 과학교실 태양계/별과 우주
이번 주에는 초등과학 영역에서도 지구과학에 해당하는 책을 골라 읽어 보았습니다. 연 선생님의 떠들썩한 과학교실에는 초등과학부터 물리, 화학, 생물과 함께 지구과학이 포함되어 있는데 릴리는 이번에 태양계 책과 별과 우주책을 골랐네요.^^
왜이두권을선택했냐고물었더니두사람다끝을찾는이야기라는거죠. 그래서 무슨 얘기인가 했는데 태양계의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 그리고 거대한 우주의 끝은 어디일까. 라는 두 표지의 질문을 보고 고른 것 같습니다.릴리가 고른 두 권의 책을 오늘도 함께 읽어봅시다!
용선생님의 시끌벅적한 과학 교실 11.태양계 태양계의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
태양계 중심에서 스스로 빛을 내는 성금성 지구와 가장 가까운 행성으로 매우 밝게 보이는 화성 표면이 붉은 행성으로 제2의 지구가 될 가능성이 높은 목성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희미한 고리가 있다.토성 태양계에서 두 번째로 큰 행성으로 선명한 고리가 있다.소행성 불규칙한 형태의 천체로 금속 또는 바위로 구성되어 있다.
1교시 태양란?태양계는 어떤 모습일까.
태양과 태양의 영향을 받는 천체, 그리고 그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태양계라고 합니다.태양의 중력을 기준으로 하면 태양계 끝은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에 5만 배 밖에 있으며, 작은 천체들이 구피 모양으로 모여 있는 오토구름을 중심으로 봅니다.태양풍을 기준으로 하면 태양계의 끝은 태양풍이 머무는 곳까지를 말합니다.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에 100배 밖에 있어요.
태양계는 태양계의 중심에 있으며 태양계에 다른 천체에 비해 매우 큰 태양이 있습니다.그리고 태양 주위를 도는 천체로 둥글고 크기가 크며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혜왕성을 가리키는 행성이 있습니다. 또한 이 행성 주위를 도는 천체인 달 이오타이탄 등의 위성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왜소행성, 소행성, 혜성 등의 작은 전체도 있습니다.
2교시 태양 태양이 조수에 미치는 영향은?
태양은 주로 수소와 헬륨으로 내부가 구성돼 핵에서 태양 에너지를 만들어냅니다. 복사침과 대류층을 통해 밖으로 전달됩니다.
태양의 표면은 광고라고 하지만, 보송보송한 문에 쌀알 모양으로 수와 크기가 계속 바뀌는 검은 점도 존재합니다. 태양의 자전에 의해 태양의 표면을 따라 계속 움직인다고 합니다.
태양의 대기는 광구 바로 밖에 있는 약간 붉은색을 띤 대기의 채층과 채층 위에 있고 청백을 띠며 태양풍이 부는 코로나층이 있습니다.
3교시 수성과 금성태양과 가장 가까운 행성은?
금성은 새벽이나 초저녁에 볼 수 있는 행성으로 지구보다 안쪽에서 태양주의를 공전합니다.지구에서 해와 달 다음으로 밝게 보이는 것은 달 다음으로 지구에 가깝기 때문입니다.그리고 두꺼운 구름이 햇빛을 반사해서 더 밝게 보인다고 합니다.대기는 짙은 이산화탄소로 구성되어 있어 온실 효과가 심하고 온도가 매우 높습니다.지형은 지구보다 평평하다고 합니다.
수성은 새벽이나 초저녁에 볼 수 있지만 금성분의 흙은 좀 더 어렵습니다. 대기가 없기 때문에 낮과 밤의 온도가 매우 다르고 표면에는 충돌 구멍이 많습니다.
4교시 화성 제2의 지구는 어디일까.
화성과 지구가 비슷한 점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튼튼한 땅이 있고 낮에는 표면 온도가 20도 정도로 유지되며 하루 길이가 24시간 정도로 계절이 바뀝니다.
화성 표면은 산화철로 산화철로 덮여 있고 붉은색을 띠며 물이 흐른 흔적이 있다고 합니다.화성에서는 물과 공기는 매우 희박하고 공기의 대부분은 이상화탄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극지방에 물과 이산화탄소가 얼어 있는 구칸이 있습니다.
화성은 지구보다 바깥쪽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합니다.화성의 위치에 따라 지구에서는 새벽이나 초저녁 또는 한밤중에 관측할 수 있습니다.
5교시 목성과 토성 고리가 있는 행성은?
태양계 최대 행성인 목성은 수소와 헬륨 등의 기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는 고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1979년에 보이저호가 발견했는데 대부분 작은 암설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적도와 나란히 있는 줄무늬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매우 빠르게 자전하기 때문에 그렇게 보인다고 합니다.대기에서 부는 거대한 소용돌이인 제 적반은 지구의 약 1.5배 크기라고 하니 목성은 정말 큰 행성 같아요.
태양계에서 두 번째로 큰 행성인 토성은 수소와 헬륨 등의 기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얼음 알갱이와 바위 조각으로 이루어진 넓은 고리를 가지고 있는데, 가벼운 수소가 자전에 의해 바깥쪽으로 조금씩 밀려나 양쪽으로 가늘고 긴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6교시 작은 천체들, 태양계의 또 다른 가족은?
태양계 전체를 구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일단 태양 같은 별 주위를 공전해야 돼요 그리고 스스로의 중력으로 둥근 모양을 유지해야 합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이때 소행성이라고 부릅니다.공전 공전 궤도상에 작은 천체가 있으면 그것은 행성이 되고, 그렇지 않으면 왜소 행성이라고 부릅니다.
왜소행성이라는 행성보다 작고 소행성보다는 큽니다 카이퍼피와 소행성대에 위치하며 엘리스, 명왕성, 하우메어, 마케마케, 셀레스 등이 있습니다.
태양계에 대해 여러 이야기를 들어봤는데 명왕성이 처음에는 태양계 횡성으로 분류됐다가 최근에 그 기준이 생겨서 따로 떨어져 나왔다는 설명을 보니 조금 아쉬웠습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과학에서는 기준이 명확해야 하고 그 기준에 예외를 두지 않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앞으로 아이들이 배우는 새로운 과학 이야기도 이렇게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정확한 내용을 함께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용선생의 떠들썩한 과학 교실 19. 별과 우주 거대한 우주의 끝은 어디일까?
북두칠성 국자 모양의 별자리로, 큰곰자리 일부 북극성 지구 북극상에 떠 있는 별 태양계에서 유일한 별로, 스스로 빛을 내는 수소성에 많은 물질로 별이 빛을 내는 데 사용되는 우리은하 태양계가 속한 은하로 막대나선은하 관측 가능한 우주 우리에게 도달한 빛으로 파악한 우주
1교시 별자리 밤하늘 길잡이 누구야?
지구에서 보이는 별 몇 개를 묶어 여러 동물이나 사람의 물건에 이름을 붙인 것을 별자리라고 합니다.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 별자리 808개를 정했으며 지구에서 별자리를 이루는 별까지의 실제 거리는 각기 다릅니다.
그렇다면 이런 별자리는 어디에 사용될까요?별자리는 동서남북 방향을 찾을 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북두칠성이 있는 곳이 북쪽이거든요.천체의 위치를 찾거나 나타낼 때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북두칠성이나 카시오페아자리를 이용하여 북극성의 위치를 찾고, 별자리를 이용하여 유성우의 위치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존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보이는 별자리가 달라집니다. 지구 북극상에 떠 있는 북극성과 그 주변에 위치한 큰곰자리, 그리고 작은곰자리, 카시오페아자리 등은 사계절 내내 볼 수 있습니다.
2교시 별별이는 영원히 똑같을까?
스스로 빛을 낼 수 있고 둥근 모양의 전체를 별이라고 합니다.중심부에서 수소수소가 여러 개 합쳐져 헬륨으로 바뀌면서 빚이 생기게 됩니다. 항성이라고도 합니다.
태양과 질량이 비슷한 별의 일생을 보면 성간물질이 뭉쳐 둥근 모양이 되고 수소가 합쳐져 빚지는 별이 됩니다.수소가 모두 바닥나면 헬륨이 합쳐져 크기가 커지고 헬륨이 바닥나면 중심 부분은 작은 천체로 남고 바깥쪽은 다시 성간물질이 됩니다.별의 질량에 따라 그 일생은 다를 수 있지만 태양보다 질량이 훨씬 큰 별은 블랙홀이 될 수도 있습니다.
3교시에 별의 거리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사람이 있을까?
관측하는 사람이 움직일 때 관측된 두 위치와 물체가 이루는 각도를 시찰이란 각도를 시차라고 합니다. 시차와 거리의 관계를 보면 물체가 가까이 있으면 시차가 크고 물체가 멀리 있으면 시차가 작아집니다.
천체 간의 거리가 너무 멀기 때문에 미터나 킬로미터보다 훨씬 큰 단위를 사용하여 우주상의 거리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를 1로 한 거리 단위가 바로 AU인데 주로 태양계에서 사용하며 1에 AU는 약 1억 5000만 킬로미터 정도 된다고 합니다.시차를 이용하여 잰 별까지의 거리를 쉽게 나타내기 위해 만든 거리 단위로 파섹을 사용합니다.1퍼섹은 약 20만 AU니까 약 3.26광년이 됩니다.(빛이 1년간 진행된 거리를 일로 한 거리의 단위가 광년입니다)
4교시 빛의 밝기별 밝기를 정확하게 나타내려면?
별의 밝기란 별이 내뿜는 빛의 양과 지구에서 별까지의 거리의 영향을 받아 거리에 따른 별의 밝기 변화를 보면 별이 멀리 있을수록 밝기는 빠르게 줄어들고 거리가 2배가 되면 밝기는 4분의 1로 줄어들고 거리가 3배가 되면 밝기는 9분의 1로 줄어듭니다.
별의 밝기를 숫자로 표현한 것을 별의 등급이라고 합니다. 등급을 나타내는 숫자는 밝은 별일수록 작아지고 어두운 별일수록 커집니다.일등성은 육등성보다 100백 배 정도 밝습니다.
맨눈이나 망원경 등으로 봤을 때의 등급은 실제 밝기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외모 등급으로 표현하고, 별을 모두 지구에서 10% 거리에 있다고 생각했을 때의 등급이 절대 등급으로 별의 실제 밝기를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이 됩니다.
5교시 은하수의 정체는?
수많은 천체들이 한데 모여 있는 것을 은하라고 합니다. 태양계가 속한 은하를 은하라고 합니다.옆에서 보면 중심부가 볼록한 원반 모양이고 위에서 보면 막대 모양의 중심부를 나선팔이 감고 있는 형태입니다.성단, 성간물질, 성운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지구에서 은하의 일부분이 보이는 것을 은하수라고 합니다.
별들이 모여 있는 집단을 성단이라고 합니다. 은하의 중심쪽에서 별이 공 모양으로 모여 있는 것으로 주로 생긴 지 오래되어 온도가 낮은 별을 가리키는 구성성단이 있고, 은하의 나선팔 부분에 별이 점재해 있는 것으로 주로 생긴 지 얼마 되지 않아 온도가 높은 별을 산개성단이라고 합니다.
6교시 우주우주는 얼마나 클까?
은하 밖에 있는 또 다른 은하를 외부 은하라고 합니다.모든 외부 문화는 은하로부터 멀어지고 있습니다. 우주는 팽창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우주의 팽창 이론을 설명하는 것은 대폭발설, 즉 빅뱅 이론이라고 하는데 137억 년 전에 대폭발이 일어나 우주가 생겨났다라는 이론입니다.
사실 아직 우주에 대한 디테일한 개념과 정보가 있는 책은 별로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릴리가 연 선생님의 시끄러운 과학교실에 우주 관련 책을 고를 때 조금 걱정하기도 했습니다.
이해가 안 되는 내용이 너무 많으면 그 책에 대한 호감도나 흥미도가 떨어지지 않을까 싶은데 4컷 만화, 그리고 핵심 정리 부분과 개념 노트 부분을 자주 이용해서 독서를 하다 보면 모르는 내용이 많았는데 그래도 그중에서 재밌다는 것을 많이 느끼면서 책을 읽었습니다.^^
용 선생의 떠들썩한 과학 교실
#연쌤 #연쌤과학교실 #초등학교과학 #시끌벅적한과학교실 #학습만화 #사회평론 #초등학교전집 #10세전집 #초등고학년과학 #초등고학년추천도서 #초등과학전집 #과학지식책 #어린이필독서 #교과연계 #통합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