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층과 화석 초콜릿 거스러기를 발굴하여 가지 모양의 지층 관찰 지층: 퇴적물이 층층이 쌓이고 퇴적암으로 굳어진 층.cf. 하나의 암석은 지층이 아니다. ex. 북한산 층리 vs 변리 층리는 퇴적물의 종류와 색상, 알갱이 크기의 차이에 따른 줄무늬 변리는 변성암이 강한 열과 압력을 받아 생긴 줄무늬
지층 생성 과정에서 퇴적물이 운반되고 쌓임이 먼저 쌓인 것이 누적(지층누적의 법칙) 오랜 시간이 지나 단단하게 굳어져 지층형성 지면 위로 융기되어 침식된 후 발견! 지층 누적의 법칙: 퇴적암의 생성 순서를 알려준다! 수평 퇴적의 법칙
지층무늬 만들기 자갈, 모래, 진흙: 알갱이 크기의 차이가 확실하도록 준비해야 한다.만드는 순서물을 먼저 넣는다.자갈. – 모래. – 진흙 순서대로 넣을게! 지층에 줄무늬가 생기는 이유-퇴적물의 종류, 알갱이의 크기, 색깔이 다르기 때문이다.+ 퇴적물을 섞어 지층을 만드는 방법을 사용할 때의 장점 : 실제 자연현상을 잘 보여준다. 실제 자연에서는 여러 퇴적물이 함께 섞여 쌓이기 때문이다.
암석화 작용(속성 작용)을 굳히는 작용: 아래가 위로 밀려 공극이 작아지는 결합 작용: 물에 녹은 물질이 퇴적물 사이에 침전되어 공극을 메우면서 굳어진다! 사실 자연현상에서는 두 가지 작용이 따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이루어진다.
퇴적암 관찰 퇴적암 분류 쇄설성 : 풍화, 침식으로 인해 – 입자 크기 차이 : 이암/사암/역암 화학적 : 암염/석회암 유기적 : 석회암, 석탄
이암이 진흙의 비율이 높고 역암이 진흙의 비율이 가장 낮다.이 바위 vs 셰일 바위는 덩어리 모양으로 갈라지고 셰일은 방향성을 가지고 층리를 가진 채로 갈라진다! 둘 다 진흙의 비율이 높다.
퇴적암 모형 만들기를 굳히는 작용 – 모래 반죽을 컵으로 누르는 결합작용 – 물풀! 오식민지: 퇴적물이 쌓이고 굳어지면 퇴적암?물풀을 넣은 모형과 넣지 않은 모형을 비교하여 굳히는 작용과 결합작용이 모두 필요함을 지도한다.
다양한 화석관찰 화석 : 생물의 본체와 생활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 다섯 가지 개념: 돌만 화석 가능?냉동상태의 멘마스 화석이나 호박에 갇힌 모기 등의 다른 예도 제시.
화석의 생성조건 딱딱한 부분이 있어야, 빨리 묻혀야 퇴적암이 심각한 지각변동이나 변성작용을 받아야 화석화작용이 있어야 (생물을 이루는 원래의 성분이 광물로 변하거나 탄소성분만 남아 딱딱해진다) 화석의 생성, 발견과정 : 운반-매몰-퇴적-지표노출(지반의 융기와 침식으로 인해)-발견
화석의 종류 표준 화석-지질 시대를 나타내는/분포 면적이 넓지만 번성한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다.ex. 삽엽충 시상화석 – 당시의 자연환경을 나타내는/분포면적이 좁지만 번성한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다.산호 화석 – 당시의 지형이 따뜻하고 얕은 바다임을 알린다.
화석 형태에 따른 분류 몰드 – 외형이 남았다 / 음각캐스트 – 외형이 그대로 복원 / 양각
화석의 가치 과거의 생물과 자연 환경을 추리하여 자원 탐사에 도움이 된다
지층, 퇴적암, 화석의 관계: 지층은 퇴적암으로 구성되며, 이 퇴적암 중에서 화석이 발견된다.
화석 모형 만들기 점토 반데기에 조개껍질을 눌러 벗긴다: 오랜 시간이 지나 용해, 시들함을 나타내는 점토 반데기에 생긴 조개껍질의 흔적이 덮일 수 있도록 아르디네이트 반죽을 채워준다.이때 조개껍데기 흔적은? 몰드 3. 시간이 지나 딱딱해지면 아르디네이트 반죽을 벗긴다.뭔지 알지, 반죽은? 캐스트
화산과 지진★매우 핵심적인 부분이 작년에 출제되었기 때문에 그 외에 옆다리만 중심으로 공부.
화성활동 : 화산활동(지구 내부의 에너지로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방출되는 현상) + 심성홀동(마그마가 땅속에서 굳어지는 활동)! 분출형(순바닥) / 폭발형(종상) 화산을 구분하지 않는다.+ 마그마 : 용융상태의 암석물질이다/땅속의 암석이 녹아 만들어진 것이다
화산관찰 순상화산 : 경사가 완만한 화산/규산 함량이 적은 현무암질 용암(물처럼 펼쳐짐), 화산가스 용암대지 : 현무암질 용암이 대량 분출하여 생긴 대지.성층화산: 규산 함량이 중간인 안산암질 용암과 고체화산 분출물/경사가 중간인 화산종상화산: 규산 함량이 가장 높은 유문암질 용암(끈적끈적)/경사가 급한 화산+기생화산-큰 화산이 분출할 때 옆에 다른 분화구가 생겨서 생긴 화산.
화산 분출 모형 실험하기: 화산 분출물 화산 분출물 고체(화산 쇄설물) – 화산암석 조각 + 화산재 / 화산진액 채취(용암) – 마그마에서 기체가 빠진 액체(화산가스)! 호일 구멍 근처의 붉은 식용 색소는? 마시멜로색과 용암역할액체 마시멜로색을 구분하기 위해서.
화산 분출 모델의 각 요소와 실제 화산 분출물을 연결하는 호일 구멍 위에서 나오는 연기-화산가스 호일 아래로 흘러내리는 액체 마시멜로-용암호일 아래 굳어진 마시멜로-화산암석 조각
화성암 – 결정크기/광물조성 결정크기 : 화산암/심성암 광물조성 : 염기성암/중심암/단성암
현무암 vs 화강암 – 색상 (구성광물의 차이) / 입자의 크기 (생성장소의 차이)! 작년 기출이니 적당히..! 다양한 표본을 준비해서 관찰한다. 현무암이지만 표면에 구멍이 없는 것 등등
단층지진모형실험지구 내부의 힘/우드록실험인데 작년에 기출이니 진행하자.내진(전달된 힘을 구조물의 내력으로 지탱하는) 면진(전달되는 힘을 감소시키는) 제진(장치를 이용하여 전달되는 힘을 분산시킨다) ex. 트러스 구조
지진의 강도 – 규모 / 진도 규모 : 절대적인 척도 / 에너지 총량 / 리비아 숫자 (소수 한 글자로) 진도 – 상대적인 척도 / 피해 정도를 계급화 / 로마 숫자 / 진원에 가까울수록 진도가 큼
+ 액상화 현상